반응형

디버깅을 하다보면 메모리 특정 범위의 값들을 확인하고 싶거나
특정 범위의 인스트럭션들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보기 위해서 명령어 X 를 사용하며
-g 옵션을 가지고  컴파일되지 않은 실행파일을 디버깅하고자 할 때 많이 사용한다.

형식은 다음과 같다.
메모리의 특정 범위의 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.

(gdb)x/[읽어올 범위][출력상태][범위의 단위] [찾으려는데이터]

해석은 뒤에서 앞으로가면서 하면 이해하기 쉽다.

출력의 형식 내용
o 8진법으로 표시
x 16진법으로 표시
u 10진법으로 표시
t 2진법으로 표시
범위의 단위 내용
b 1바이트 단위로 표시(byte)
h 2바이트 단위로 표시
(half word)
w 4바이트 단위로 표시
(word)
g 8바이트 단위로 표시
(giant)

예시) 0x8048200는 메모리 주소이다.

(gdb)x/10b 0x8048200  :   1byte 단위(b)로 10개를 값을 보여준다
0x7f5bfff2324c: 0x30    0x30    0x37    0x32    0x34    0x39    0x30    0x38
0x7f5bfff23254: 0x5f    0x64

 

(gdb)x/8wx 0x8048200 :  16진법으로(x) 4바이트단위(w)로 8개를 보여준다.
0x7f5bfff2324c: 0x07024573 0x0eft32373 0x070cee03 0x05154577

0x7f5bfff23254: 0x0402153c 0x05133373 0x07024573 0x047512c3

반응형

'프로그래밍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특정 프로세스 점유 메모리 확인  (0) 2023.02.17
[LINUX] 디버거 GDB란  (0) 2023.01.20
Epoll  (0) 2022.02.15
[Linux] 메모리 확인하기  (0) 2021.11.12
[Linux] 메모리 확인 (디스크 용량)  (0) 2021.11.12

+ Recent posts